명동예술극장

서울에서 처음 직장 생활을 시작할 때 명동에 대한투자금융이라는 금융회사가 있었다. 나는 내가 다니던 회사가 발행한 융통어음을 그때 용어로는 와리(わり) 즉 할인(割引)해서 자금을 차입해오는 용무로 대한투자금융 건물에 출입을 했는데 그 건물은 당시 명동 주변에 흔했던 개발독재시대에 대충 지어 올린 철골 콘크리트 건물들과는 사뭇 다른 고풍스러운 멋을 풍기고 있었다. 투금으로 불리던 그때 투자금융회사들은 급여를 쎄게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나처럼 상경계를 전공한 대학 졸업자들에게는 취업하고 싶은 선망의 대상이었고 그 고풍스러운 건물을 사무실로 쓰던 대투의 거래 창구마저 근사하게 보이던 기억이 생생하다. 부러웠으리라. 다른 한편 대투 건물에 출입할 때마다 나는 이 멋진 건물이 곧 사라질 것 같다는 감정을 느끼곤 했다. 그것은 건물 자체로는 멋있으나 주변의 건물들과는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 이를테면 이 건물 역시 주변 건물과 평준화의 길을 걷게 되리라는 예감 같은 것이 아니었나 한다. 내 그 어설픈 예감과는 별개로 부도가 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융통어음을 찍어 돈을 빌리던 기업들과 역시 그걸 알고도 그 어음을 할인하여 돈을 빌려 주던 투자금융회사들은 IMF시대에 세트로 정말 부도가 나버렸으며 그 바람에 나도 직장을 옮긴 후 더 이상 명동 출입을 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그로부터 25년 세월이 흘러 최근 『경성의 건축가들』이라는 책을 읽다가 25년 전 내가 사라질 것 같다는 예감을 하며 출입하던 대투 건물의 사연과 행방을 알게 되었다. 그 건물은 일제시대인 1937년 다마타 기쓰지(玉田橘治)라는 일본인 건축가의 설계로 당시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던 명동에 메이지자(明治座)라는 극장 건물로 세워졌다 한다. 해방 후 건물은 서울시 등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며 국립극장으로 사용되다가 1975년 대투가 인수하여 사무실 건물로 사용하였으며 1997년 IMF 시절 대투의 도산으로 헐릴 위기에 처하자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건물의 역사성을 알아보고 보존 운동을 벌여 2004년 문화관광부가 건물을 매입, 복원 공사를 거쳐 2009년에 국립극단 소속 명동예술극장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25년전 내 예감의 반은 맞았고 반은 틀렸던 셈이다. 책 『경성의 건축가들』들은 일제시대와 해방 후 우리 땅에서 활동한 건축가와 건축업계 인물들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저자 김소연이 머리말에 밝히기로 책을 처음 기획할 때 주변 반응이 거기 “뭐 볼 게 있다고!”였다 하며 YES24의 추천에 혹 하여 책을 구매한 나조차도 충동구매를 한 것이겠거니 그래 뭐 볼 게 있겠냐 이왕 산 책이니 볼 거 없다는 것을 확인이라도 해보자 펼친 책인데 거의 단숨에 다 읽었다. 현재의 우리는 역사라는 시간과 한반도라는 공간의 토대 위에 오늘을 살고 있다. 『경성의 건축가들』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고민과 과제들의 시공간적 기원을 찾는 작업의 일부라는 점에서 때로 ‘일그러진 시대’ 운운하는 오바가 거슬린다는 점만 빼면 확실히 볼 게 많은 책이었다.

'○ 작은 책꽂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의 이유  (0) 2019.06.01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0) 2019.05.16
교통부의 비밀  (2) 2019.04.24
라이더의 단톡방  (0) 2019.04.15
노포의 장사법  (0) 2019.03.21

+ Recent posts